이명박 정부에서 위기설이 처음 움튼 것은 촛불집회가 한창인 6월이었다. 정권의 취약성이 드러나자 바로 위기설이 유통됐다. 하지만 이전 정부와 차이점이 있다.
경제위기의 확산에 이명박 대통령과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등 여권 수뇌가 상당 부분 기여했다는 점이다. 촛불집회가 한창인 6, 7월 여권은 "이래서는 안 된다"며 대대적으로'경제위기'를 경고했다. 그때 위기론이 9월 위기설로 구체화해 돌아온 측면이 있다.
정권이 교체되면서 위기설에 대한 입장도 바뀌었다. 참여정부 시절 여러 차례 위기설을 거론했던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1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"9월 위기설은 상당히 근거가 부족하고 비과학적 주장"이라며 "정부가 아주 무능하거나 위험한 짓을 한다는 가정에서 현실화될 수 있는 내용"이라고 일축했다.
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. 한 여당 의원은 "지금의 위기설은 외환보유고 환율 가계부채 주가 무역수지 등 대부분 지표가 악화한다는 점에서 과거 위기설과는 다르다. 심상치 않다"고 말했다.
이동훈기자 dhlee@hk.co.kr
경제위기의 확산에 이명박 대통령과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등 여권 수뇌가 상당 부분 기여했다는 점이다. 촛불집회가 한창인 6, 7월 여권은 "이래서는 안 된다"며 대대적으로'경제위기'를 경고했다. 그때 위기론이 9월 위기설로 구체화해 돌아온 측면이 있다.
정권이 교체되면서 위기설에 대한 입장도 바뀌었다. 참여정부 시절 여러 차례 위기설을 거론했던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1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"9월 위기설은 상당히 근거가 부족하고 비과학적 주장"이라며 "정부가 아주 무능하거나 위험한 짓을 한다는 가정에서 현실화될 수 있는 내용"이라고 일축했다.
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. 한 여당 의원은 "지금의 위기설은 외환보유고 환율 가계부채 주가 무역수지 등 대부분 지표가 악화한다는 점에서 과거 위기설과는 다르다. 심상치 않다"고 말했다.
이동훈기자 dhlee@hk.co.kr